“완전 중구난방” 멤버들도 이상함 느껴… 다중이다 말한 블랙핑크 지수 MBTI 이렇게 나왔다.

“멤버들 힘들어해” 어쩐지 눈치보더라.. ‘다중이에요’ 블랙핑크 지수 MBTI 밝히자.. 모두 충격받았다.

요즘 MZ들이 과몰입하고 있는 컨텐츠라고 하면 MBTI를 빼놓을 수 없는데요.

약간 단물이 빠진 것 같은 느낌이 들기는 해도 여전히 처음 누군가를 만날 때는 이만한 대화주제가 없습니다.

4가지 혈액형별 성격 유형에서 무려 16가지로 진화한데다 꽤나 정확하다는 이유 덕분에 인기를 얻었는데요.

많은 사람들이 MBTI 테스트 덕분에 자기 자신을 더 잘 알았다고 대답하고 있죠.

그런데, 이런 MBTI 검사가 할 때마다 결과가 바뀐다면 그 때는 ‘나도 나를 모르는’ 상태가 될 수밖에 없는데요. 한 가수가 계속해서 바뀌는 검사결과 때문에 주변 사람들로부터 ‘다중이’로 불린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일부러 테스트 대답을 다 다르게 하는게 아니고서야 매번 결과가 바뀌는게 쉬운 일은 아닌데요. ‘다중이’라는 별명을 얻은 가수는 바로 블랙핑크의 지수였습니다.

최근 지수는 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자신의 MBTI 결과를 공개했는데요.

일반 검사가 아닌 전문적인 테스트를 보겠다더 그는 놀라운 이야기를 꺼내놓았습니다.

이제까지 수없이 MBTI 테스트를 했지만 매번 결과가 달랐다는 이야기였는데요. 이제까지 나온 유형만 해도 ESTJ, ESTP, ENTJ, INTP까지 완전 중구난방이었죠.

이렇다보니 진짜 자기 타입이 뭔지 본인도 궁금할 법 했는데요. 지수는 검사에 들어간 뒤에도 계속해서 답을 쉽게 고르지 못해 웃음을 자아냈습니다.

특히나 양자택일을 해야하는 질문에서 쉽게 답을 내리지 못했는데요. 한동안 고전을 치른 지수의 MBTI 최종 결과는 ISTP였습니다.

이제까지 나와본 적이 없는 또 다른 유형이 튀어나오면서 지수도 황당해하는 모습이었죠.

황당하기는 하지만 나름 결과에 만족하는 듯한 태도도 볼 수 있었는데요. 지수는 ‘꽤 확실한 결과인 것 같다’라며 만족감을 드러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매번 결과가 다르게 나오는 사람이 지수말고 또 있는건가 궁금했는데요. 한 의사는 MBTI가 여러번 다르게 나올 수 있고 타당도도 떨어진다며 ‘과몰입’에 우려를 표하기도 했습니다.

MBTI 검사에 대한 견해를 내놓은 사람은 강남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였는데요. 그는 성격 유형검사인 MBTI의 특성과 맹점을 짚었습니다.

MBTI는 정신건강학에 몸담았던 캐서린과 이사벨 모녀가 개발한 테스트인데요. 본인이 직접 설문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측정하는 자가 보고 검사에 해당합니다.

일반적으로는 2지선다식으로 구성된 93개 문항과 144개 문항으로 된 두 가지 테스트가 사용됩니다.

개발자에 따르면 MBTI는 철학자인 칼 구스타프 융의 ‘심리유형론’에 기반해 만들어졌는데요.

칼 융은 사고, 감각, 감정, 직관 4가지 기본 심리가 인간의 의식 속에 있다고 보았습니다.

네 가지 심리를 기반으로 테스트를 하면 결과적으로 16가지 유형의 성격을 확인할 수 있는거죠.

설명만 들어보면 꽤나 신뢰도가 높아보이는 검사같은데요. 그렇지만 의사들은 MBTI 검사가 신뢰도는 높지만 타당도가 낮은 테스트라고 지적합니다.

MBTI 검사를 할 때, 지수처럼 결과가 자주 바뀌는 사람들이 나타나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검사를 반복하더라도 4가지 지표가 모두 똑같이 나오는 경우가 많지 않아 그만큼 재현 확률이 떨어지는 것이죠.

실제로 같은 MBTI 검사를 반복하더라도 성격 유형이 이전과 똑같이 나올 확률은 66%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여기에 MBTI가 이분법적인 측정을 하는 검사라는 점도 문제인데요.

둘 중에 하나를 골라야 하는데다 자가 보고식으로만 테스트를 하니 결국 ‘내가 생각하는 나’만 밝혀낼 수 있는거죠.

이런 이유 때문에 MBTI 검사 결과와 실제 성격이 다르게 나오는 경우도 왕왕 있는데요.

MBTI 검사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이 있는만큼 너무 검사 결과를 맹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합니다.

겨우 16가지 결과만 가지고는 수백, 수천만 명의 성격을 정확히 가늠하는 데 당연히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죠.

여기에 자신이 스스로를 정확히 바라보지 못하는 경우에는 검사 신뢰도가 더 떨어진다고 하는데요. 실제 성격과 결과가 매번 달라지는 것을 보면 지수가 매번 ‘넌 누구니’라며 자문하는 것도 이해가 됩니다.

누구보다도 지수 본인이 매번 결과가 다르게 나오는 데 당혹감을 느끼지 않을까 싶은데요.

그래도 즐거워하는 것을 보면 다행히 MBTI에 과몰입을 하는 타입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