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망해봐야 정신 차릴려나” 그나마 배달료는 납득이라도 되지.. 직접 음식 받으려 갔는데 2500원 내라네요.

코로나 탓에 많은 사람들이 배달 서비스를 애용하기 시작했는데요.

울며 겨자먹기로 배달을 선택하는 사람들을 이용해 배달비를 올리는 업체들 때문에 문제가 되기도 했죠.

배달 대행사나 배달 플랫폼들이 말도 안되는 수수료를 부과한 탓인데요. 아무리 물 들어올 때 노 젓는다고는 하지만 정도가 지나쳤습니다.

결국 소상공인과 소비자가 이런 수수료를 부담해야하는 지경에 이르렀죠.

엔데믹이 찾아오고 일상을 되찾으면서 소비자들은 부당한 배달료에 맞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그 결과 배달 이용률 자체가 크게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끝이 아니었는데요. 음식을 사먹어도 배달보다는 포장을 해서 배달비를 아끼려는 사람도 많이 늘어났죠.

그런데, 이제는 포장을 해서 먹는데까지 ‘장난질’을 하는 가게들 때문에 또 한번 소비자들이 분노했는데요.

배달비를 아끼려고 포장을 선택했더니 포장비를 부과하는 가게들이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최근 한 SNS 이용자가 사진을 한 장 공유하면서 논란이 불거졌는데요. 해당 유저는 ‘배달시키면 배달비 받으면서 포장하면 포장비도 따로받느냐’라는 글을 올렸습니다.

이어서 그는 ‘이러다 가게에서 먹고가면 식탁비, 접시비도 받겠다’라며 비꼬는 말을 남겼죠. 문제의 글에는 사진도 함께 첨부되어 있었는데요.

문제의 사진에는 가게 내부에 설치된 키오스크가 찍혀있었습니다. 키오스크를 사용해 음식을 주문하던 중 포장비용 안내를 받으면서 사진을 찍은 것이었죠.

화면에 뜬 안내 문구는 그야말로 황당했는데요. ‘포장 금액 2,500원이 추가된다’라는 문구였습니다.

당연히 사진을 본 사람들도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였는데요. 해당 글은 순식간에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로 확산되었죠.

‘배달비 아끼려고 포장 주문하면 생기는 일’이라는 제목만 보더라도 소비자의 불만을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과도한 금액은 당연히 문제겠지만 그래도 배달비는 부과되는 이유를 이해할 수라도 있는데요.

배달 대행업체에서 가게 대신 음식을 전해주니 이용료가 나올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포장은 또 다른 이야기죠. 대행업체의 손도 빌리지 않고 직접 가게까지 찾아가 포장된 음식을 받는데 비용이 들어가니 이해가 어렵습니다.

오히려 포장을 하면 가격을 더 할인해주는게 ‘국룰’이라고 생각하는 가게도 많은데요. 상을 차리고 치우지 않아도 되는데다 한자리라도 더 사람을 받을 수 있으니 가게도 포장이 이득이라는 논리입니다.

이런 인식 속에서 배달료에 육박하는 포장비를 부과하는 가게가 생겨난 것인데요.

네티즌들은 ‘포장할 때 그릇도 챙겨야 하는거냐’, ‘매장에서 먹으면 설거지 비용도 받겠네’라는 반응을 보였죠.

용기 값을 부과하는 것 까지는 이해한다는 반응도 찾아볼 수 있었는데요. 그렇다 하더라도 500원 정도 더 받는 수준이라면 이해를 하겠다는 반응이었습니다.

대부분의 네티즌이 포장을 한다고 2,500원이나 더 받겠다는건 장사를 할 마음이 없는게 아니냐는 말을 남겼죠.

심지어 같은 소상공인들도 문제의 사진에 공감하기 어렵다는 반응이었는데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이 활동하는 커뮤니티에도 문제의 포장비 글이 올라왔습니다.

이에 이들은 ‘나도 장사하지만 이건 좀 아니다’, ‘얼마나 좋은 용기를 쓰길래 저 돈을 받느냐’라는 반응을 남겼죠.

이렇게 포장비용이 논란이 된 것은 처음이 아닌데요. 실제로 배달 주문에 포장비가 안붙지만 직접 픽업을 하는 경우 요금을 추가하는 가게들이 적지 않습니다.

포장용기 가격이 만만치 않다보니 100%까지는 아니더라도 부담 비용을 붙이는 것인데요.

그렇지만 어차피 음식가격에 부대비용까지 계산해서 넣으니 따로 돈을 받으면 안된다는게 소비자 생각입니다. 사먹는 입장에서 왜 부자재값까지 내가 부담을 해야하느냐는 불만을 가질 수밖에 없죠.

실제로 원가계산을 할 때 음식 가격에 임대료, 부자재 비용까지 계산해서 넣는게 일반적인 공식인데요.

오르는 물가에 임대료까지 더해지면서 이런 비용을 소비자에게 부과하려는 소상공인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소액이라도 누적되면 부담이 커지니 100% 업자가 부담하기는 무리다’라는 논리죠.

워낙 시장 상황이 좋지 않다보니 양쪽의 말이 모두 일리는 있는데요.

그렇지만 장사를 하는 것은 본인의 선택인데 무턱대고 소비자에게 과한 부담을 떠넘기는게 맞는지는 의문이네요.

Scroll to Top